안녕하세요. 데이터베이스 팀 Oda입니다. LINE Manga의 데이터베이스 샤딩(sharding) 작업에 대해서 서버 엔지니어 편을 먼저 소개드렸는데요. 이번 글은 데이터 엔지니어 편입니다. 샤딩을 하게 된 배경과 대응 방침을 데이터베이스 엔지니어 입장에서 검토한 사항을 중심으로 공유하겠습니다. 샤딩을 하게 된 배경 먼저 LINE Manga에서 데이터베이스 샤딩 작업을 하게 된 배경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서비스 인수인계 과거로 좀 거슬러 올라가 보겠습니다. 제가 LINE Manga 담당 데이터베이스 엔지니어가 된 것은 2018년 2월 중순입니다. LINE Manga는 2013년 4월 9일에 서비스를 시작했으니 5주년을 눈앞에 두고 있었습니다. 전임자는 마침 마이그레이션 작업 시점이라며 함께 작업을 진행하면서 서비스를 인수인계했습니다. 마이그레이션 작업의 목적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안녕하세요. LINE Manga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Ito입니다. LINE Manga의 데이터베이스 샤딩(sharding) 작업에 대해서 서버 엔지니어 편, 데이터베이스 엔지니어 편으로 나누어 소개하려 합니다.이번 글은 서버 엔지니어 편으로, 샤딩을 하게 된 배경과 대응 방침, 애플리케이션에서 수정한 사항을 중심으로 공유하겠습니다.LINE Manga란?'LINE Manga'는 앱이나 웹 브라우저, 혹은 LINE 메신저에서 만화 작품을 즐길 수 있는 디지털 만화 서비스입니다. 현재 일본어로 서비스하고 있으며 2013년 4월에 서비스를 시작하여 2019년 4월 9일 자로 6주년을 맞이했습니다. 250곳 이상의 출판사와 레이블을 통해 이제까지 38만 작품 이상의 만화를 서비스했고, 일본에서 다운로드 수 2,300만 이상(2019년 4월 현재)이며, App Annie가 발표한 'Top Publisher Award 2018'의 일본 앱 연간 수익
sunderls is a front-end engineer
안녕하세요, 저는 LINE MANGA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자 바 스크립트 개발자, @sunderls입니다.여러분, 혹시 LINE 앱에서 만화를 보실 수 있는 것*, 알고 계셨나요? 금시초문이라면, '더 보기' 버튼을 눌러 LINE MANGA 메뉴를 통해 멋진 만화들을 만끽해 보세요.아래의 그림은 LINE MANGA 서비스의 화면 중 일부입니다. 페이지 전환이 참 매끄럽지 않나요? 여러분께 살짝 귀띔을 해드리자면, LINE MANGA 서비스는 웹 기반으로 개발했습니다. 저희가 보기에는 페이지 전환이 네이티브 앱 못지 않다고 생각하는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이번 글을 통해서 우리가 이런 결과물을 얻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여러분께 간단히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웹을 기반으로 구현하면 발생하는 문제웹앱이나 웹페이지를 구현할 때 흔히 React나 Vue를 사용합니다. React나 Vue를 이용해서 페이지 전환을 구현한다면, 바로 Router를 사용하면 되겠다는 생각이 떠오르실